사고의 기술 중 전이에 대하여

1) 전이(transfer)의 의미란 무엇인가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배운 지식이나 기술을 처음 마주하는 상황에서 생각하여 적용하는 기술을 전이 영어로는 transfer라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어떤 과목 또는 특정 분야에서 학습한 것이 다른 교과목이나 다른 분야의 학습 과정에 도움이 되고 영향을 준다면 전이가 발생했다고 이야기 합니다.   2) 전이(transfer)의 유형에 대하여  1)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  더하기를 배운 아이가 곱하기 문제를 잘 푼다면 긍정적인 전이가 일어났다고 합니다. 한문을 많이 아는 학생이 한문을 모르는 학생보다 일본어를 쉽게 배울 수 있다고 한다면 먼저 배웠던 한문 학습이 뒤에 배운 후속 학습 인 일본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선행된 학습이 후속하는 학습을 촉진하는는 것을 긍정적인 전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선행된 학습이 후에 하는 학습을 하는 데 방해가 된다면 이것을 부정적 전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이전에 배운 영어식 발음 때문에 불어를 공부하는데 발음이 방해받는 경우는 선행된 학습과 후속된 학습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다른 반응을 요구하는 경우에 일어납니다.   2) 수평적 전이와 수직적 전이  선행된 학습과 후속하는 학습의 수준이 비슷한 경우에 일어나는 전이를 수평적 전이라고 합니다. 수학 시간에 배운 그래프를 과학 시간에 사용하여 결과를 정리하거나, 수학 시간에 배운 지식을 경제 시간에 활용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내용의 이해를 돕는 경우가 수평적 전이에 해당합니다.   수직적 전이는 선행한 학습과 후속하는 학습의 레벨이 분명하게 달라서 두 학습 과제 사이에 위계를 이룰 때 생기는데 특정 교과목을 배울 때 전 학년의 학습이 현재 학년 학습의 기초가 되는 경우 수직적 전이가 일어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덧셈을 배워야 곱셈을 할 수 있고, 곱셈을 배워야 나눗셈을 배울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3) 자동적 전이와 의식적 전이   선행학습을 새로운 학습에 스스로

학교학습 모델을 제시한 캐롤의 연구에 대하여

 오랫동안 다른 나라 언어교육을 연구하고 경험한 캐롤은 그 결과를 토대로 학교학습에 관한 가설적 모델을 제시하였습니다. 케롤의 학교학습 모델은 가르침과 학습에 있어서 여러 가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가장 체계를 갖춘 모델로 오늘날까지도 계속해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최초의 모델입니다.

캐롤의 학습 정도

 학생이 어떤 과제를 학습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의 양과 비교하여 학습하는데 시간을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지에 따라 학습의 완성 정도가 결정된다고 하였습니다. 학습성취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필요 학습 시간 양이 정해져 있고 이 시간이 채워졌을 때 완전 학습이라는 기준에 도달 가능하다는 이론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사용 시간의 양은 학습 하는 과정에서 의미 없이 지나가는 시간 즉 학습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시간 책상에는 앉아있지만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 시간 등은 제외하고 학생이 능동적으로 과제에 집중하여 열중하는 시간의 양을 말합니다.

즉, 학습의 정도 = f(학습에 사용한 시간의 양/학습에 필요한 시간의 양)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방정식을 해석해보면 학습의 정도를 퍼센트로 표시하면, 학생에게 학습에 필요한 시간과 실제 학습에 사용한 시간이 같을 때 학습의 정도는 100퍼센트가 된다. 학생에게 과제완성을 위해 2시간이 필요한데 2시간을 온전하게 학습에 사용하였다면 학습의 정도는 100이 됩니다. 반대로 학습에 필요한 시간의 양과 상관없이 학습에 사용한 시간의 양이 0일 경우는 학습의 정도도 0이 됩니다. 

 학습에 필요한 시간과 사용한 시간을 결정하는 변수로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른 변수로는 적성, 이해력, 지속력이 있고 , 학습 조건에 해당하는 수업 변수는 수업의 질, 학습 기회가 있습니다. 변수들을 적용하여 다시 학습의 정도 계산 방정식을 정리 해 보면 ,

학습의 정도 = f(지속력 x 학습기회) / (적성 x 이해력 x 수업의 질) 로 정리 해 볼 수 있습니다.

1) 적성

 다들 많이 들어본 적성이란 무엇인가 학문적으로 정의를 살펴보면 어떤 학습을 하기 위해 요구되는 학습자의 능력을 이야기합니다. 어떤 학습을 하느냐 하는 학습 종류와 성질에 따라 달라지는 특수한 변수입니다. 수학에 높은 적성을 가진 학생이 미술에 반드시 높은 적성을 가졌다고 말할 수 없듯이 적성이라는 것은 특정한 과제에 대한 보통 선수 학습이라고 하는 사전학습의 양과 관련이 높습니다. 한 과제의 양이 정해져 있다고 가정하면 과거에 일정 수준의 학습 성취를 한 학생은 앞으로 많은 학습 시간이 필요하지는 않을 것 입니다. 주의할 점은 학생의 적성이라는 것은 학습에 필요한 시간을 결정할 뿐이지 학업 성취와 학습 정도를 결정하는 데는 간접적으로 작용할 뿐 이라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2) 수업이해력

 수업이해력은 적성과는 다르게 수업에서 사용하는 자료 및 절차를 이해하는 학생의 일반적인 능력을 말합니다. 적성과 수업이해력의 중요한 차이는 적성은 과제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 바뀌지만 여러가지 수업이해력은 수업 장면에 걸쳐 이해를 필요로 하는 일반 능력이라는 점입니다. 캐롤은 일반 지능과 언어능력 두 가지를 수업이해력에 필요한 요인으로 구성하였습니다. 교재나 교과서를 이해하는데 언어 능력과 일반 지능이 이해도의 차이를 만들다는 연구로부터 학습에 있어 독서를 강조하는 점이 설득력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수업의 질

 학습과제의 제시, 설명과 구성 방법이 적절한 정도 흔히 커리큘럼이라고 하는 수업의 질도 수업 변수로서 학습에 필요한 시간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줍니다. 밀도 있고 좋은 커리큘럼의 수업은 학생의 학습에 필요한 시간을 줄여주는데 공헌하는 반면, 질이 저하된 수업은 필요한 시간만 연장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훌륭한 수업이란 학생이 빠른 속도로 효과적인 학습을 해 낼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잘가르치는 선생님을 수업의 질과 동일시 하는 경향이 있는데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수업의 질은 교사의 질과는 또 다른 차원에서 논의 해야 할 문제이고, 수업의 방식도 학생의 개인차에 따라 정서적인 특성과 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는 주장이 받아 드려지고 있습니다. 즉 똑같은 영어라는 과목을 같은 선생님이 수업해도 과외처럼 수업을 받을 때와 학원에 가서 학습을 할때 효과가 다를 수 있다는 점 입니다.

4) 지속력

 학생이 스스로 인내심을 가지고 학습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학습과정이 힘들지만 견뎌내고 실패와 어려움에도 좌절하지 않고 해내기 위해 멈추지 않고 계속 하는 힘을 지속력이라고 합니다. 지속 가능하다는 것은 학습동기, 태도, 흥미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캐롤은 이러한 지속력을 "학습자가 학습을 위해 사용하려고 하는 시간" 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지속력은 사람마다 다르며 또 개인에게 어떤 과제를 줬느냐에 따라 흥미 태도 동기가 다르게 작동하기 때문에 차이가 크게 납니다. 

5) 학습 기회

어떤 과제를 주고 실제로 학교에서 학습자에게 허용한 시간의 양을 학습 기회라고 정의합니다. 쉽게 말하면 교사가 가르치고 학생은 자기 것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능동적으로 사용한 수업 시간의 양을 이야기합니다. 현재 학교에서는 일정한 과제의 성취를 위해 모든 학생에게 일정한 시간을 주는데 이것은 개인차를 무시한 학습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학생은 본인의 적성, 수업이해력 등에 따라 필요한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학습 기회도 달라야 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고력에 관하여

창의력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