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의 기술 중 전이에 대하여

1) 전이(transfer)의 의미란 무엇인가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배운 지식이나 기술을 처음 마주하는 상황에서 생각하여 적용하는 기술을 전이 영어로는 transfer라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어떤 과목 또는 특정 분야에서 학습한 것이 다른 교과목이나 다른 분야의 학습 과정에 도움이 되고 영향을 준다면 전이가 발생했다고 이야기 합니다.   2) 전이(transfer)의 유형에 대하여  1)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  더하기를 배운 아이가 곱하기 문제를 잘 푼다면 긍정적인 전이가 일어났다고 합니다. 한문을 많이 아는 학생이 한문을 모르는 학생보다 일본어를 쉽게 배울 수 있다고 한다면 먼저 배웠던 한문 학습이 뒤에 배운 후속 학습 인 일본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선행된 학습이 후속하는 학습을 촉진하는는 것을 긍정적인 전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선행된 학습이 후에 하는 학습을 하는 데 방해가 된다면 이것을 부정적 전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이전에 배운 영어식 발음 때문에 불어를 공부하는데 발음이 방해받는 경우는 선행된 학습과 후속된 학습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다른 반응을 요구하는 경우에 일어납니다.   2) 수평적 전이와 수직적 전이  선행된 학습과 후속하는 학습의 수준이 비슷한 경우에 일어나는 전이를 수평적 전이라고 합니다. 수학 시간에 배운 그래프를 과학 시간에 사용하여 결과를 정리하거나, 수학 시간에 배운 지식을 경제 시간에 활용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내용의 이해를 돕는 경우가 수평적 전이에 해당합니다.   수직적 전이는 선행한 학습과 후속하는 학습의 레벨이 분명하게 달라서 두 학습 과제 사이에 위계를 이룰 때 생기는데 특정 교과목을 배울 때 전 학년의 학습이 현재 학년 학습의 기초가 되는 경우 수직적 전이가 일어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덧셈을 배워야 곱셈을 할 수 있고, 곱셈을 배워야 나눗셈을 배울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3) 자동적 전이와 의식적 전이   선행학습을 새로운 학습에 스스로

사고의 기술 개념형성에 관하여

 배운지식과 기술을 생활속에서 적절하게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사고(thinking)이라고 하는데 이 사고의 기술에는 개념형성, 추론, 전이, 문제해결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사람, 물건, 사건, 생각들을 각각 따로 지각하거나 기억하기도 하지만 이것들의 공통점에 근거하여 하나의 집합으로 묶을 수 있는데 이처럼 사물과 사건에 대한 생각을 조직화하는 과정을 개념형성이라고 합니다. 개념을 이용하면 세상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기억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개념의 형성에 관하여

 어떤 아이가 오렌지를 보고 과일이라고 불렀다고 해서 이 아이가 과일에 대한 개념을 이해했다고 말하기는 힘듭니다. 개념의 명칭은 의사소통에 아주 중요하고 개념을 이해하는데 꼭 필요한 것이지만 명칭을 안다고 해서 개념을 이해했다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 아이가 과일은 씨, 껍질, 과즙으로 이루어진 나무에서 나는 열매라는 것을 알고 있다면 과일의 개념을 알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개념이란 비슷한 물건들, 비슷한 생각들, 비슷한 사건들처럼 집합을 의미하는 카테고리와는 다릅니다. 새(bird)라는 단어를 듣고 날 수 있음, 날개가 있음, 깃털이 있음, 부리가 있음 등을 이야기 하였다면 그것은 새에 대한 개념을 정의한 것이고 새(bird)라는 단어를 듣고 참새, 비둘기, 오리, 까치 등 새의 종류에 대해서 나열하였다면 새의 개념을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새의 범주 즉 카테고리에 대하여 안다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개념의 유형에는 감각개념과 의미개념으로 구분 됩니다. 감각개념에는 색체, 형태와 같은 것들이 포함되며 의미개념에는 고양이, 나무 등의 자연개념와 자동차, 책상 등의 인공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두 유형의 차이보다는 공통점이 강조되는 추세입니다. 
개념은 정의적 속성과 특징적 속성으로 구성되며, 다른 개념들과 서로 관계를 이루며 존재합니다. 이 관계를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그림으로 표현한 것을 개념지도라고 하는데, 학생들에게 개념도를 자주 사용하면 이해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1)개념의 정의적 성질

 반드시 필요하고 충분한 조건을 필요충분조건이라고 하는데, 개념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필요충분조건을 개념의 정의적 성질이라고 합니다.
 새중에는 타조, 닭 처럼 날지 못하는 새도 있는데 새를 정의하는데 '날 수 있다' 라는 조건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또 이 날 수 있다 라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것이 새라는 개념을 보증하는데 충분한 것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날 수 있는 것 중에 비행기도 있고, 날다람쥐도 있기때문입니다. 따라서 필요충분조건으로 개념을 정의하려는 것은 모든 개념에 완벽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2)개념의 특징적 성질

 앞서 살펴보았듯 필요충분조건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개념도 있기 때문에 우리는 개념의 특징적 성질을 생각하여야 합니다. 개념의 특징적 성질은 개념을 설명하는 전형적인 속성이지만 필요충분한 속성은 아닙니다. 날 수 있다 라는 특징적 성질은 대부분의 새에게 발견되는 전형적인 속성이지만, 새를 저의하는데 꼭 필요한 조건은 아닙니다. 새의 개념에 속하는 예시에는 새의 특징적 속성을 많이 가지고 있는 새도 있고, 적게 가진 새도 있습니다. 까치는 새의 특징적 성질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키위 새는 그렇지 않다는 점입니다. 어떤 개념의 특징적 속성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개념을 대표할만한 것을 원형이라고 합니다.

개념형성을 도울수 있는 교수법

1) 보통의 일반적 범위를 언급한다.

 개념을 정의할 때는 개념을 포함하는 더 일반적인 범주를 지정하여야 하고, 개념을 정의하는 속성을 같이 이야기 하여야 합니다. 

2) 많은 사례를 제시하여야 합니다.

가르쳐야 할 표적 개념을 좀 더 분명하게 이해 시키고자 한다면, 다른 개념들과 헷갈리지않도록 가르치려면 교사는 많은 사례를 제시하여야 합니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새로은 개념을 가르칠 때 제일 처음 전형적인 사례를 먼저 제시하면 학생들이 쉽게 이해가 가능하므로 전형적인 사례를 먼저 언급한 후 덜 전형적인 사례를 제시하여야 합니다. 또 복잡한 개념을 가르칠 수록 개념에 속하는 사례뿐만 아니라 개념에 속하지 않는 사례들을 많이 제시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사례와 비사례 모두를 제시한 후 학생들이 개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을 개념에 포함시키켜 오개념을 형성하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3) 새로운 개념을 가르칠 때에는 개념을 정의하는데 반드시 필요하고 충분한 조건인 정의적 성질도 제시하여야하고, 반드시 필요한 필요충분조건은 아니지만 개념에 속하는 다양한 사례가 공유하는 특징적인 성질도 언급하여야 합니다.

4) 관련된 개념들을 연결
 학생이 이미 알고 있는 개념과 새롭게 알게된 개념을 잘 연결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도록 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고력에 관하여

학교학습 모델을 제시한 캐롤의 연구에 대하여

창의력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