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의 기술 중 전이에 대하여

1) 전이(transfer)의 의미란 무엇인가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배운 지식이나 기술을 처음 마주하는 상황에서 생각하여 적용하는 기술을 전이 영어로는 transfer라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어떤 과목 또는 특정 분야에서 학습한 것이 다른 교과목이나 다른 분야의 학습 과정에 도움이 되고 영향을 준다면 전이가 발생했다고 이야기 합니다.  

2) 전이(transfer)의 유형에 대하여 

1)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

 더하기를 배운 아이가 곱하기 문제를 잘 푼다면 긍정적인 전이가 일어났다고 합니다. 한문을 많이 아는 학생이 한문을 모르는 학생보다 일본어를 쉽게 배울 수 있다고 한다면 먼저 배웠던 한문 학습이 뒤에 배운 후속 학습 인 일본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선행된 학습이 후속하는 학습을 촉진하는는 것을 긍정적인 전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선행된 학습이 후에 하는 학습을 하는 데 방해가 된다면 이것을 부정적 전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이전에 배운 영어식 발음 때문에 불어를 공부하는데 발음이 방해받는 경우는 선행된 학습과 후속된 학습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다른 반응을 요구하는 경우에 일어납니다.  

2) 수평적 전이와 수직적 전이

 선행된 학습과 후속하는 학습의 수준이 비슷한 경우에 일어나는 전이를 수평적 전이라고 합니다. 수학 시간에 배운 그래프를 과학 시간에 사용하여 결과를 정리하거나, 수학 시간에 배운 지식을 경제 시간에 활용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내용의 이해를 돕는 경우가 수평적 전이에 해당합니다. 
 수직적 전이는 선행한 학습과 후속하는 학습의 레벨이 분명하게 달라서 두 학습 과제 사이에 위계를 이룰 때 생기는데 특정 교과목을 배울 때 전 학년의 학습이 현재 학년 학습의 기초가 되는 경우 수직적 전이가 일어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덧셈을 배워야 곱셈을 할 수 있고, 곱셈을 배워야 나눗셈을 배울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3) 자동적 전이와 의식적 전이 

 선행학습을 새로운 학습에 스스로 적용하는 경우에 자동적 전이가 일어납니다. 학습 내용이나 기술을 연습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자주 사용할수록 깊이 생각하지 않아도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자동적 전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특정 브랜드의 자동차를 많이 운전 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특별히 신경 쓰지 않아도 다른 브랜드의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먼저 배운 학습을 새로운 학습에 의도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의식적 전이라고 합니다. 먼저 배운 학습과 새로운 학습과의 관련성을 의식적으로 깊이 생각하여야 의식적 전이가 일어납니다. 보통 수학 공부를 할 때 교과서를 통해 기본적인 원리, 개념 등을 익힌 다음 문제해결 전략을 통해 새로운 문제에 적용시켜 응용 문제를 푸는 경우가 이에 해당됩니다. 

4) 일반적 전이와 구체적 전이

먼저 배운 학습에서 지식이나 개념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는 것을 일반적 전의라고 하는데 학교에서 배운 것을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해 실생활 문제점이 발견했을 때 적용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 학급회의를 통해 문제점을 제기하고 의견을 모아 합의점을 만들어 내는 절차를 반복 경험함으로써 실생활에서도 민주적으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일반적 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 전이는 특수 전이라고도 하는데 먼저 배운 학습 또는 기술을 매우 비슷한 상황에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 전이는 선행한 학습과 후행한 학습에서 다루는 과제가 같은 인지 전략을 사용하기에 발생하고 구체적 전이는 선생한 학습과 후행한 학습의 구체적 특징이 비슷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3) 긍정적 전이를 돕는 수업방식에 관하여

학교 교육 목표 중 하나는 학습자가 배운 지식, 기술, 전략, 원리들을 여러가지 상황에 전이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교육자가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살펴보면
  1. 충실한 먼저 배운 학습 : 이미 배운 기술이나 지식을 완벽하게 숙달해야 후속학습에 긍정적으로 전이 가능합니다.
  2. 충분한 학습 시간 : 오랜 시간 학습을 할수록 주제에 대하여 심층적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이가 더욱 쉽게 일어납니다.
  3. 유의미 학습 : 먼저 배운 지식과 관련 없이 기계적으로 암기한 학습은 의미를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먼저 배운 지식과 새로 배울 지식을 관련지어 학습할수록 전이가 쉽게 일어납니다.  
  4. 동기 유발 : 학습자에게 배운 지식이 실생활에 얼마나 깊이 관련되어 있는지, 앞으로 발생할 문제 해결에 얼마나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설명하면 전이가 쉽게 일어납니다.
  5. 다양한 예시와 연습 : 학습자는 먼저 배웠던 학습이 새롭게 배울 학습과 비슷해야 전이가 일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유능한 교사라면 이러한 경향성을 극복하도록 잘 도와야 합니다. 따라서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연습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아주 기초지식을 반복하기 보다는 응용해야 풀 수 있는 문제나 실제로 적용하는 숙제를 내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6. 개별적인 사실이나 지식보다 원리를 강조 : 일반 원리가 개별적 지식이나 구체적 사실보다 훨씬 전이기가 잘 됩니다. 왜냐하면 특정 상황에서 다른 상황으로 정보가 전이될 가능성은 처음 정보를 학습할 때 받아들인 정보가 얼마나 조직화 되어 있냐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겉으로는 다르게 보이더라도 동일한 전략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을 함께 묶어서 제시하면 좋습니다.
  7. 메타인지의 증진 : 전이가 일어나려면, 먼저 배웠던 학습에서 배운 지식, 기술 원리 등을 새로운 문제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자신의 인지적 과정과 기술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점검하고 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메타인지능력은 학생 자신이 알고 있는 것(자기지식)과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 아는 과제 지식으로 구성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고력에 관하여

학교학습 모델을 제시한 캐롤의 연구에 대하여

창의력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