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의 기술 중 전이에 대하여

1) 전이(transfer)의 의미란 무엇인가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배운 지식이나 기술을 처음 마주하는 상황에서 생각하여 적용하는 기술을 전이 영어로는 transfer라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어떤 과목 또는 특정 분야에서 학습한 것이 다른 교과목이나 다른 분야의 학습 과정에 도움이 되고 영향을 준다면 전이가 발생했다고 이야기 합니다.   2) 전이(transfer)의 유형에 대하여  1)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  더하기를 배운 아이가 곱하기 문제를 잘 푼다면 긍정적인 전이가 일어났다고 합니다. 한문을 많이 아는 학생이 한문을 모르는 학생보다 일본어를 쉽게 배울 수 있다고 한다면 먼저 배웠던 한문 학습이 뒤에 배운 후속 학습 인 일본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선행된 학습이 후속하는 학습을 촉진하는는 것을 긍정적인 전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선행된 학습이 후에 하는 학습을 하는 데 방해가 된다면 이것을 부정적 전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이전에 배운 영어식 발음 때문에 불어를 공부하는데 발음이 방해받는 경우는 선행된 학습과 후속된 학습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다른 반응을 요구하는 경우에 일어납니다.   2) 수평적 전이와 수직적 전이  선행된 학습과 후속하는 학습의 수준이 비슷한 경우에 일어나는 전이를 수평적 전이라고 합니다. 수학 시간에 배운 그래프를 과학 시간에 사용하여 결과를 정리하거나, 수학 시간에 배운 지식을 경제 시간에 활용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내용의 이해를 돕는 경우가 수평적 전이에 해당합니다.   수직적 전이는 선행한 학습과 후속하는 학습의 레벨이 분명하게 달라서 두 학습 과제 사이에 위계를 이룰 때 생기는데 특정 교과목을 배울 때 전 학년의 학습이 현재 학년 학습의 기초가 되는 경우 수직적 전이가 일어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덧셈을 배워야 곱셈을 할 수 있고, 곱셈을 배워야 나눗셈을 배울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3) 자동적 전이와 의식적 전이   선행학습을 새로운 학습에 스스로

적성에 대하여

 적성이란 음악, 미술, 학업, 운동, 목공 등과 같은 특정한 활동을 해내는데 필요한 기능이나 지식을 이야기 합니다. 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 지면서 적성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 지능은 일반적인 지적 능력을 이야기한다면, 적성은 지능과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특정한 분야의 지적 능력을 말합니다.

적성검사의 발전 과정 

 초기에 적성은 산업 분야의 인력 선발과정에서 분류를 위해 사무직 적성과 기계적 적성을 알아보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였습니다. 기계적 적성검사에는 단순 운동적인 섬세성 검사부터 지각적 공간적 적성검사를 거쳐 기계적 추리 까지 측정하였고, 사무적 적성검사에는 단어 또는 수를 다룰때 지각적 속도와 정확성 측정에 중점을 둡니다. 추후 음악, 미술과 같이 다른 직업 영역에서도 적성검사가 개발 되었습니다. 

적성검사의 이용 사례

 미국 대학위원회에서 대학입학생 선발 과정에서 실기하는 학업적성검사(SAT)와 대학원 진학 선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졸업성적검사(GRE)는 검사받는자의 지적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를 실시하여 총점과 낮은 영역의 점수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그 외에도 미군을 위한 군 직업적성검사와 산업현상에서 우수한 인력선발하기 위한 보조적 선별법으로 미 고용성에서 개발한 일반적성검사가 있습니다.

적성검사의 위계모형에 관하여

 영국의 버트와 버넌, 미국의 험프리스는 적성에 대하여 위계 모형을 제시하였습니다. 적성의 위계모형의 가장 아래에 있는 항목은 특수 감각운동, 지각, 단순 지적능력등과 같이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적성이 위치합니다. 그 위에는 가장 아래에 있는 항목들을 결합하여 언어 이해, 수학 적성, 공간적 추리와 같은 조금 더 높고 넓은 수준의 적성이 위치합니다. 가장 상위에는 가장 아래 항목과 그 윗 단계 항목을 결합하여 하나의 종합적 적성이 위치합니다. 이러한 위계모형에 의해 개발된 개인용 검사로는 변별 능력 척도가 있으며, 집단용 검사로는 인지능력검사와 학업능력검사가 있습니다.

적성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적성이 형성되기까지는 세 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학습경험을 계속적으로 함으로써 적성이 형성되어집니다. 수학 시간에 적절한 교육을 받고 자신감과 흥미를 느껴 수학이라는 과목에 만족을 느낀 학생은 학교 수업시간에 교사가 가르치는 것을 철저히 학습하여 다음 수학 시간에서도 성취감을 높일 수 있는 적성을 발달 시키게 됩니다. 둘째, 훈련의 변별적 전이의 결과로 적성이 형성되는데 개인이 서로 다른 범위의 지식을 획득하면 학습준비상태, 인지적 기능, 정보처리 전략이 개인마다 다르게 획득되어지기때문에 이에 따라 특정 개인의 적성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세번째는, 가정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 문화적 맥락, 학교의 교육과정, 직업 세계와 같은 경험적인 요인들이 개인의 적성 형성에 영향을 줍니다.

적성과 성취의 차이점에 관하여

적성과 성취는 어떻게 다른지 살며보면, 성취는 전통적으로 후천적인 학습의 결과를 말하지만 이와 반대로 적성은 지능처럼 학습과는 독립적인 보유 능력의 정도를 나타낸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Kelly에 따르면 지능검사와 성취검사는 90% 정도가 중복된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적성또는 성취를 대신하기 위해 개발된 능력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는데 이것이 결국은 학습능력을 이야기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고력에 관하여

학교학습 모델을 제시한 캐롤의 연구에 대하여

창의력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