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의 정의와 성격에 대하여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교수 즉 가르치는 일에 대한 정의와 성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배움 학습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인 가르침의 개념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지만 그 중 유명한 교육 심리학자인 게이지의 교수 이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게이지의 교수에 관한 정의
다른 사람의 학습을 촉진 시키고자 하는 어떤 사람의 활동을 말한다고 정의하였습니다. 게이지는 꼭 가르치는 일이 지적인 과정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라 학생들에게 시범을 보이는 일, 기준을 제시하여 따라하게 함으로써도 가르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정서적인 요소로 구성된 태도, 감상하는 법 등을 가르치는 활동도 교수에 포함 시켰습니다. 이렇게 교수의 범위를 넓게 보면 언어를 사용하여 가르치는 방법과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가르치는 두 가지 방법 모두를 통하여 지식, 정신, 신체의 영역을 학습하도록 가르치는 활동이라고 불 수 있습니다.
한편 가르치는 것을 하나의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예술 행위로 보는 하이에트의 주장도 있는데 예술로서의 가르침은 아름다움의 창고나 미학적 쾌락을 불러일으키는 예술이라기보다는 창의적인 생각, 표현력, 그때그때 처한 상태에 맞추어 즉시 결정하고 처리하는 능력, 판단과 추론을 하지않고 대상을 직접 인식하는 힘 등이 요구되는 과정이라고 말하였습니다. 따라서 문학, 미술, 음악 등 서로 다른 예술의 형태에 적용된 사물의 가치나 진위를 가려내는 능력과 예술을 장단점을 비교하고 아름다움과 추함을 판단하는 법을 교수에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가르침이란 과학적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공학적 통제과정으로 보는 견해는 스키너 의 The technology of teaching 이라는 책에 잘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가르치는 것을 세밀한 과학적인 분석에 따른 과학적 기술로 보고 있습니다. 학습하는 과정을 정해진 원리대로 잘 따라하면 언젠가 훌륭한 교수에 도달이 가능하다고 보고 가르침은 자동화가 가능하고 기계화도 가능해 교사가 없어도 교육이 된다고 이야기합니다.
게이지는 여러가지 주장들 중 절충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학자입니다. 예술성이 있는 것을 가르친다고 해서 교사 마음대로 즉흥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가르치면 학생들이 배움을 잘 받아 드릴 수 있을까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기본으로 하여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 가르치는 교사가 적절하게 창의적이며 예술성을 잘 발휘하여 가르쳐야 한다는 것 입니다. 가르침을 과학적 연구를 기본으로 하지만 실제 가르침에 있어서 많은 변수가 한번에 서로 작용을 하기 때문에 교사는 최선의 교수방법에 대해 과학적연구를 기본으로 하고 임상적 예술적 판단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브루너는 가르치는 것은 학습이론의 성격과는 다르다고 생각하였습니다. 학습이론은 배우는 자가 무엇을 배워가는지 서술하고 기록하는 성격을 띤 이론이고 어떤것을 효과적으로 배우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직접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간접적인 성격을 가진 이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교수이론은 의사가 환자에게 약을 처방해주는 것처럼 학생이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필요한 조건과 방법을 제시해준다는 점을 처방적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또 지식이나 태도 기능 등을 모든 학년에 공통적으로 일정한 기준 까지 도달하도록 일반 수준을 높게 진술한다는 점에서 규범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교수이론과 학습이론의 성격이 같지 않지만 두 이론이 독자적으로 연구되어지고 발달한다면 실제 교육에서의 적용해도 개선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두 이론 사이의 합의점을 발견하여 서로 보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인지심리학의 영향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학습이론과 교수이론 둘 다 교과지식을 학습하는 과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