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의 사회심리학
기본적으로 프로이트의 발달이론에 기본으로 사회심리학적 측면의 발달에 더 초점을 둔 에릭슨의 이론을 살펴봅시다. 에릭슨은 후천적인 사회문화적 인간관계가 타고난 본능적인 성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인간의 일생을 8단계로 구분하였습니다.
1. 신뢰감 대 불신감
에릭슨은 출생 후 1년까지의 신생아시기는 엄마와의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신뢰 대 불신의 심리를 형성하게 됩니다. 프로이트는 구강기에 해당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아기가 엄마에게 요구하는 신체적 욕구에 즉각 반응하고 충분한 애정과 정서의 안정감을 충족하게 되면 아기는 세상은 아름답다고 생각하며 주위 세상을 신뢰하기 시작합니다. 반대로 엄마가 아기에게 관심이 없고 행동에 일관성이 없으며 거부적이고 적대적인 반응을 한다면 아기는 세상에 대한 불신을 발달시키게 됩니다.
2. 자율성 대 회의감, 수치심
에릭슨은 2세부터 3세까지의 영아기에는 자율성 및 회의감 및 수치심이 발달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프로이트의 항문기에 해당합니다. 영아기에는 아이가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발달시키는 시기입니다. 부모가 도움을 주어야만 대소변 처리가 가능하다가 스스로도 용변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점과 같이 아이는 스스로 많은 것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자율 의지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동이 스스로 의지대로 할 수 있게 허용되지 않으면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수치심을 느끼거나 자기 자신에 대한 회의감을 발달시키게 됩니다.
3. 주도성 대 죄책감
에릭슨의 주도성 대 죄책감의 시기는 프로이트 이론의 남근기에 해당하는 4세부터 5세 사이의 유아기를 말하며 이 시기에 운동능력 지적능력이 한층 발달하고 더욱 많은 것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또 목표나 계획을 세우고 달성하려고 노력하고자 하는데 이 과정에서 자기 주도성이 발달하게 됩니다. 또 환상적 형태의 주도성으로 이성 부모에 대한 소유 욕구가 발달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자기 주도적 활동을 제지하고 처벌하게 되어 나쁜 것으로 느끼게 되면 죄책감이 발달하게 됩니다. 프로이트는 이 시기를 초자아 발달의 시작이라고 하였습니다.
4. 근면성 대 열등감
에릭슨의 6세부터 11세 사이의 아동기는 아동의 세계가 넓어지고 특히 유치원 학교 등 기관에 다니게 되면서 집 밖의 환경에 새로운 영향을 받게 됩니다. 집 또는 학교에서 활동하면서 근면성에 관한 것을 학습하기 시작하면서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과제의 완성으로 부터 오는 즐거움을 얻기 위해 하나의 수단으로 작용합니다. 부모나 교사의 태도로 이런 기능들이 결정되는데 교훈적인 칭찬, 강화는 근면성을 길러줍니다. 하지만 조롱하거나 거부적인 태도를 보이면 부적합함이나 열등감을 발달시키게 되는 이 시기의 특징이 있습니다.
5. 정체감 대 역할 혼돈
에릭슨의 12세에서 18세에 해당하는 청소년기는 흔히들 말하는 사춘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갑작스러운 신체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당황하여 자신의 존재에 관하여 새로운 탐색을 시작하게 됩니다. 에릭슨은 이 시기를 자아 정체감이 형성되어야 하는 아주 중요한 시기로 생각했습니다. 정체감 형성의 성공은 성인기를 준비하지만, 정체감 형성에서 위기를 맞거나 실패하게 되면 역할 혼돈에 빠지게 됩니다. 또 청소년기의 정체감 발달에 있어서 지불유예를 강조하는데 동일시하고자 하는 인물이나 집단의 영향력이 중요한데 청소년은 닮고 싶은 인간적 모델을 모방하여 정체감을 형성하는 것 보다 독서와 여행, 다양한 사람과의 만남 등을 먼저 경험한 후 천천히 정체감을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강조 하였습니다.
6. 친밀감 대 고립감
19세부터 35세 정도 나이를 성인 초기라고 말합니다. 성인 초기 시기에는 부모와 독립하고 직업을 선택하고 배우자를 찾으며 성숙하고 책임 있는 성인의 역할을 시작합니다. 생산적인 일을 하게 되고 친구 또는 이성과의 결합 형태로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감과 다른 사람의 정체감을 적절하게 조화시켜야 하는 데 관계를 맺는데 실패할 경우 고립감을 갖게 되고 다른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거나 자신에게 위협적으로 느껴지는 사람을 거부하고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게 됩니다.
7. 생산성 대 침체성
일반적으로 장년기라고 부르는 35세에서 50세 정도까지의 시기에 해당하는데 주고 다음 세대를 직접적으로 가르치고 지도하게 됩니다. 만약 자기 자녀가 없는 경우는 다음 세대를 위한 사회봉사 활동 등을 통해서 생산성을 발휘하기도 합니다. 또 자신의 직업과 관련된 성취, 학문적 또는 예술적 업적 등에서도 생산성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생산성에 실패한 개인은 침체감에 빠지고 지루하고 따분함을 느끼고 대인관계가 부족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 시기를 생산성 대 침체성으로 표현합니다.
8.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
에릭슨의 노년기에 해당하는 50세 이후 시기에는 신체적으로 노쇠해지고 직업에서 은퇴 하며, 친구나 배우자의 사망 등으로 무력감에 빠지기 쉬운 시기입니다. 이 시기는 자아통합 또는 절망감의 시기로 전생을 돌아보는 방식을 결정하게 됩니다. 자기 삶을 성취와 만족으로 돌아보며 성패에 잘 적응했다면 자아통합감을 갖게 될 것이고 자신의 삶을 의미없었다라고 느끼게 되면 절망감에 빠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