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의 기술 중 전이에 대하여

1) 전이(transfer)의 의미란 무엇인가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배운 지식이나 기술을 처음 마주하는 상황에서 생각하여 적용하는 기술을 전이 영어로는 transfer라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어떤 과목 또는 특정 분야에서 학습한 것이 다른 교과목이나 다른 분야의 학습 과정에 도움이 되고 영향을 준다면 전이가 발생했다고 이야기 합니다.   2) 전이(transfer)의 유형에 대하여  1)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  더하기를 배운 아이가 곱하기 문제를 잘 푼다면 긍정적인 전이가 일어났다고 합니다. 한문을 많이 아는 학생이 한문을 모르는 학생보다 일본어를 쉽게 배울 수 있다고 한다면 먼저 배웠던 한문 학습이 뒤에 배운 후속 학습 인 일본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선행된 학습이 후속하는 학습을 촉진하는는 것을 긍정적인 전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선행된 학습이 후에 하는 학습을 하는 데 방해가 된다면 이것을 부정적 전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이전에 배운 영어식 발음 때문에 불어를 공부하는데 발음이 방해받는 경우는 선행된 학습과 후속된 학습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다른 반응을 요구하는 경우에 일어납니다.   2) 수평적 전이와 수직적 전이  선행된 학습과 후속하는 학습의 수준이 비슷한 경우에 일어나는 전이를 수평적 전이라고 합니다. 수학 시간에 배운 그래프를 과학 시간에 사용하여 결과를 정리하거나, 수학 시간에 배운 지식을 경제 시간에 활용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내용의 이해를 돕는 경우가 수평적 전이에 해당합니다.   수직적 전이는 선행한 학습과 후속하는 학습의 레벨이 분명하게 달라서 두 학습 과제 사이에 위계를 이룰 때 생기는데 특정 교과목을 배울 때 전 학년의 학습이 현재 학년 학습의 기초가 되는 경우 수직적 전이가 일어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덧셈을 배워야 곱셈을 할 수 있고, 곱셈을 배워야 나눗셈을 배울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3) 자동적 전이와 의식적 전이   선행학습을 새로운 학습에 스스로

교육심리학에 대해서

 현대사회에서의 교육심리학에 대해서 어떤 학문이다라고 한 문장으로 정리하기에는 여러가지 학자마다 다양한 견해와 연구 과정이 있기 때문에 누구나 인정할 만한 정의를 내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교육심리학의 생성 

 모이만이나 손다이크에 따르면 교육심리학이라는 학문이 생성된 초기에는 학습 현상에 관한 연구에서 출발하여 어떠한 지식을 적용해 가르치고 배우는 티칭과 러닝의 문제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연구되어져 왔습니다. 하지만 심리학이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발달하면서, 수많은 학자들이 새로운 지식을 끊임없이 만들어내었고 이에 따라 수많은 연구 분야가 또 새롭게 생겼습니다. 따라서 교육심리학도 자연스럽게 이러한 영향을 받아 점점 넓은 의미에서 다양한 심리학적인 지식들 가운데 교육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학문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교육심리학의 교수와 학습 과정

 수업 다른 말로 교수와 학습의 과정은 교육심리학의 핵심 영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업의 과정은 보편적으로 교육목표의 제시, 학습자의 진단, 교수절차의 활용, 그리고 학습평가 이렇게 네 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교육목표의 제시

 수업의 첫 번째 단계인 교육목표의 제시는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을 통해 배우는 사람이 성취 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단계입니다. 교육목표를 진술할 때는 몇 가지 조건이 있는데 하나는 교육목표는 학생이 성취해야 할 대상이기 때문에 학생이 행하는 행동으로 제시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의 상위목표를 먼저 제시한 후 구체적이고 명확한 하위목표를 제시합니다.

학습자의 진단

 수업의 두 번째 단계인 학습자의 진단은 학생이 일정한 시간동안 수업을 받으면 교육목표에 도달할 기초적인 준비가 되어있는가를 알아보는 단계입니다. 학원에서 레벨테스트를 본다던지 학교에서 학기 초 진단평가를 실시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사전에 준비가 되어있지 않으면 수업을 진행하여도 배울 내용을 제대로 소화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학생의 초기 상태를 알아볼 때에는 진행할 수업과 관련하여 과거에 배웠던 지식 즉 사전학습 정도를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사전학습은 후속학습의 필연적인 선행 조건으로서 사전학습이 완전하지 않으면 후속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사전학습에서 부족한 부분이 발견되었다면 이를 메워주는 보충학습을 진행해야 하는데 학생의 동기, 자아개념,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교수절차의 활용

 세 번째로 수업시간에 다룰 교과의 내용에 부합하는 적절한 절차를 사용하여 교육목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단계를 교수절차의 활용 단계라고 합니다. 수업시간에 고려해야할 적절한 교수절차로는 가르치는 방법, 가르치는 기술, 가르치는 모델 등이 있는데 가르치는 방법은 모든 교사가 교과 교육을 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공통적인 절차로 강의 방법, 토의 방법, 묻고답하는 방법, 개인 지도 방법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가르치는 기술에는 국어에 있어서 시, 수학 과목의 삼각함수, 체육의 농구, 음악의 발성하는 방법과 같은 특정 과목의 내용을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특별한 기술을 이야기합니다.

  교수 모형이란

 네 번째 사회과 탐구수업의 모형이나 과학 탐구 수업 모형처럼 지적, 정의적, 사회적, 행동적인 목표를 가르치기위해 정형화된 수업과정을 말합니다. 

학습성과 평가란

교수-학습 과정을 통해 학생은 얼마나 목표를 달성하였는지 효과를 확인 해 보는 과정을 평가라고 합니다. 평가의 방법에는 절대평가, 상대평가, 형성평가, 총합평가등이 있습니다. 교사는 평가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 교과 내용에 맞는 주관식 및 객관식 평가 문항의 출제 기술을 익혀야 하며 결과를 적절하게 해석할 수 있는 방법도 공부하여야 한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고력에 관하여

학교학습 모델을 제시한 캐롤의 연구에 대하여

창의력에 관하여